수어로 후보 이름 말해주세요… 장애인은 보고싶고 듣고싶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4-02-29 10:31 조회 426회 댓글 0건본문
장애인들이 선거제도에 더 큰 실효성을 느끼기 위해선 지역구 후보자들의 적극적인 장애 친화적인 선거 전략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역 현안을 반영하는 공약 역시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22대 총선을 앞두고 경기도내 장애인들은 공통적으로 지역 장애인의 삶과 괴리된 선거 문화를 문제점으로 꼽았다. 도내 청각장애인 최모씨는 “한국 수어에는 ‘얼굴 이름’이라는 개념이 있다”며 “후보자 이름을 그때그때 수어로 표현하기 어려워 후보자 특색에 맞는 수어용 이름 제정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도내 시각장애인 안모씨는 “이동권 등 대부분의 장애인 공약이 서울 위주로 마련되다 보니 경기도에 사는 장애인들은 소외되는 기분”이라고 소회를 밝혔다.
이에 각 정당의 경기도당은 장애인위원회를 통해 지역별 장애 현안들을 파악하고 지역구 후보 유세와 공약에 반영할 수 있도록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권태익 국민의힘 경기도장애인위원장은 “도내 장애인들의 고령화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이 쉴 수 있는 쉼터 마련을 현안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26일 기준 도내 고령 장애인 쉼터는 고양, 용인 등 20개 시·군에 있지만, 여전히 다른 지자체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연천, 가평, 양평 등의 경우 추가적인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최종현 더불어민주당 경기도장애인위원장은 “지자체와 협력하는 장애인 지역공동체 마련을 현안으로 꼽는다”고 말했다. 현재 민간 장애인 지역공동체는 용인, 안성 등에서 운영되고 있지만, 지자체 차원에서 운영되는 경우는 없다. 장애인 지역공동체는 기존에 시설 중심 장애인 복지 체계를 넘어서, 장애인의 자립과 보호자 사망 이후에도 지속적인 생계유지를 위해 제시되고 있는 안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구 후보자들의 공약에선 누락 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도내 한 정당 관계자는 “선거 전략이 전국적인 정책 현안에 맞춰져 있다 보니 지역구 후보 공약 역시 그쪽에 초점이 맞춰지는 경향이 있다”면서 “지역 현안 중 장애 관련 현안은 특히 관련 표수가 적어 후 순위로 밀리는 경우가 태반”이라고 했다.
/김지원기자 zone@kyeongin.com
22대 총선을 앞두고 경기도내 장애인들은 공통적으로 지역 장애인의 삶과 괴리된 선거 문화를 문제점으로 꼽았다. 도내 청각장애인 최모씨는 “한국 수어에는 ‘얼굴 이름’이라는 개념이 있다”며 “후보자 이름을 그때그때 수어로 표현하기 어려워 후보자 특색에 맞는 수어용 이름 제정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도내 시각장애인 안모씨는 “이동권 등 대부분의 장애인 공약이 서울 위주로 마련되다 보니 경기도에 사는 장애인들은 소외되는 기분”이라고 소회를 밝혔다.
이에 각 정당의 경기도당은 장애인위원회를 통해 지역별 장애 현안들을 파악하고 지역구 후보 유세와 공약에 반영할 수 있도록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권태익 국민의힘 경기도장애인위원장은 “도내 장애인들의 고령화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이 쉴 수 있는 쉼터 마련을 현안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26일 기준 도내 고령 장애인 쉼터는 고양, 용인 등 20개 시·군에 있지만, 여전히 다른 지자체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연천, 가평, 양평 등의 경우 추가적인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최종현 더불어민주당 경기도장애인위원장은 “지자체와 협력하는 장애인 지역공동체 마련을 현안으로 꼽는다”고 말했다. 현재 민간 장애인 지역공동체는 용인, 안성 등에서 운영되고 있지만, 지자체 차원에서 운영되는 경우는 없다. 장애인 지역공동체는 기존에 시설 중심 장애인 복지 체계를 넘어서, 장애인의 자립과 보호자 사망 이후에도 지속적인 생계유지를 위해 제시되고 있는 안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구 후보자들의 공약에선 누락 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도내 한 정당 관계자는 “선거 전략이 전국적인 정책 현안에 맞춰져 있다 보니 지역구 후보 공약 역시 그쪽에 초점이 맞춰지는 경향이 있다”면서 “지역 현안 중 장애 관련 현안은 특히 관련 표수가 적어 후 순위로 밀리는 경우가 태반”이라고 했다.
/김지원기자 zone@kyeongin.com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