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휴대폰 싸게” 친절했던 그들이 남긴 건 ‘요금 폭탄’ > 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보도자료

3971ebddf5109a750281caf66ba6a84e_1600340667_9532.png
 

3971ebddf5109a750281caf66ba6a84e_1600340667_9532.png
 

“최신 휴대폰 싸게” 친절했던 그들이 남긴 건 ‘요금 폭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1-07-26 11:00 조회 1,133회 댓글 0건

본문

“최신 휴대폰 싸게” 친절했던 그들이 남긴 건 ‘요금 폭탄’

이유진 기자입력 : 2021.07.25 21:27 수정 : 2021.07.25 21:39

(3)통신기기 개통 피해

l_2021072601003319100284391.webp
휴대폰 개통 사기 피해를 입은 발달장애인이 통신사로부터 받은 요금청구내역서를 들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parkyu@kyunghyang.com

■ “통신비 아껴주겠다”던 그들

“새것으로 자주 바꿔준다”
대리점 직원 말만 믿었는데
태블릿PC·스마트워치까지
‘줄줄이 끼워팔기식’ 개통
신분증 뺏고 위협한 경우도

“한번 들어와봐요.” 2019년 3월 서울 중랑구에서 길을 걷던 발달장애인 임성섭씨(25·가명)에게 휴대폰 대리점 직원 A씨가 건넨 첫마디였다. 평소 휴대폰, 게임기 등 전자기기에 관심이 많던 임씨는 “싼 가격에 최신 휴대폰을 개통해주겠다”는 A씨 말에 스마트폰 개통 계약을 하게 됐다. A씨는 “고가 요금제는 3개월 후면 저렴한 요금제로 변경될 것”이라며 임씨에게 “휴대폰을 매번 새것으로 교체해줄 테니 한 달에 한 번씩 자신을 찾아오라”고 요구했다.

2019년 3월부터 10월까지 8개월 사이 임씨 명의로 총 5대의 스마트폰과 1대의 태블릿PC가 개통됐다. 대부분 10만원이 넘는 최고가 요금제에, 기기 할부는 48개월로 약정됐다. 2019년 한 해 통신요금으로 약 189만원, 2020년엔 405만원, 올 상반기에는 243만원을 지출했다. 남은 기기 할부금은 155만원. 2019년부터 지출한 통신요금과 기기 할부금, 위약금을 모두 합치면 1000만원 가까이 된다.

지난 22일 서울 중랑구 한 카페에서 기자와 만난 임씨는 “위약금에 대한 설명은 없었다”며 “장애인이 힘도 없고 그러니까 인격을 무시하고 본인 마음대로 휴대폰을 바꾼 것”이라고 말했다. “그땐 그 사람들이 규칙대로 하는 것처럼 보였어요. 부모님한테는 혼날까봐 말을 못했어요. 아버지랑 나중에 (대리점을) 찾아갔는데, 오히려 자기들이 피해를 봤다고 말했어요.”

발달장애인 김정환씨(47·가명)도 같은 대리점에서 스마트폰 ‘줄줄이 개통’ 피해를 봤다. 2019년 12월부터 올 1월까지 11만원대 최고가 요금제를 6개월 유지하는 조건으로 총 4대의 스마트폰이 개통됐다. 당시 작성된 계약서 일부에는 김씨가 아닌 대리점 직원이 임의로 서명한 문서도 포함됐다. 대리점 측은 70대인 김씨 어머니에게 확인 전화를 했다는 이유로 “법적인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누나 김정희씨(가명)가 장애인소비자피해구제상담센터에 구제 상담을 하고, 센터가 문제 해결에 나선 뒤에야 대리점은 김씨에게 지원금 명목의 환불을 약속했다. 누나 김씨는 “발달장애인의 소비할 권리를 오히려 악용해 일부 대리점 직원, 통신사들이 돈을 번다는 사실에 속이 상했다”고 말했다.

“동생은 4~5살 수준의 의사소통 능력을 가지고 있어요. 제 동생이 무조건 피해자라는 게 아니에요. 절반의 죄책감과 절반의 배신감으로 가족들이 2~3년을 속앓이했어요. 장애인도 돈을 벌고, 직접 소비할 권리도 있고 이에 대한 책임도 분명 있어요. 대신 최소한 이들의 눈높이에서 상품을 설명하고, 보호자에게 제대로 된 확인이라도 해줘야 하는 거 아닌가요.”

■ 끊이지 않는 휴대폰 대리점 피해

휴대폰 대리점서 피해 빈번
부산서는 부당계약 소송도
“소비자 눈높이 맞게 설명을”
통신사들은 뒤늦게 후속 대책

중앙장애인권익옹호기관에 따르면 2019년 상업시설 장애인 학대 건수 51건 가운데 33건(65%)이 휴대폰 대리점에서 발생했다.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발달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통신기기를 짧은 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개통하고, 본인이 원하지 않은 태블릿PC, 스마트워치 등을 끼워 파는 수법이다. 길 가는 이를 붙잡아 가게로 들어오게 한 뒤 ‘특정 상품에 가입하면 요금을 아낄 수 있다’는 식으로 개통을 유도하거나, 장애인의 신분증을 빼앗고 위협을 가하는 경우도 있었다.

최근에도 피해 신고는 끊이지 않고 있다. 심정섭 한국장애인소비자연합 실장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7월 중순까지 센터에 제보된 통신 피해는 70여건으로, 발달장애인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들도 비슷한 피해를 겪고 있다”며 “피해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직영점을 찾아 서류를 떼는 일부터가 장애인들에겐 큰 난관”이라고 했다.

지난해 6월엔 부산 지역 장애인 12명이 이동통신사들의 부당계약행위를 지적하며 처음으로 집단소송에 나서기도 했다. 소송을 주도한 부산장애인권익옹호기관에 따르면 발달장애인, 청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부당계약 114건은 KT 대리점에서 92건(80.7%), LG유플러스 대리점에서 22건(19.2%) 발생했다. 소송은 피소된 통신사들이 계약 문제를 해결하고 위로금을 주는 방식으로 합의에 나서면서 종결됐다.

박용민 부산장애인권익옹호기관 관장은 “피해 장애인들은 대부분 발달장애 2~3급이었다”며 “이들은 일상적인 의사소통은 가능하나 본인이 처한 문제 상황에 대한 이해 및 해결 능력이 취약했다. 상대방이 본인에게 유리한 상황인 듯한 조건을 제시할 때, 본인의 이익과 불이익을 구별하지 못한 채 상대방 의도에 따라 움직이는 경향성을 악용해 대리점들이 편익을 취했다”고 설명했다.

■ 통신사들 후속 예방책 ‘속속’

일부 대리점의 일탈행위라며 ‘뒷짐’을 지고 있던 통신사들은 장애인 인권단체들이 적극적으로 문제 제기에 나선 뒤 속속 예방책을 마련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올 초부터 ‘사회취약계층 고객 개통 시 사전 검증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장애인 등 사회취약계층에게 정상적이지 않은 가입 절차를 통해 통신 상품을 판매하면 해당 대리점과 직원에게 페널티를 부과하는 제도다. 특히 발달장애인의 경우 보호자나 후견인의 확인을 거치도록 했다.



KT는 노인, 미성년자, 장애인의 경우 가족 구성원 중 1명을 지정해 통신 업무 처리를 위임할 수 있게 하는 ‘안심 대리인 제도’를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부산 지역에서는 장애인권익옹호기관과 업무협약(MOU)을 맺고 ‘안심 대리점’을 운영하는 방안을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SK텔레콤도 직원 상담 교육과 장애 유형에 따른 맞춤형 상담 서비스를 제공해 피해 예방과 구제 활동에 임하고 있다고 밝혔다.



원문보기: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107252127005#csidxe80f3034dacd4e2be484d6a5e0744ec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23-01-11 15:01:48 보도자료에서 이동 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장애인소비자 피해구제 상담센터

  • 전화 : 02-2088-1372   수어상담 : 070-7947-1372   이메일 : kdccc1372@daum.net
  • 운영시간 평일 9:00 ~ 18:00 (전화 ARS 간편접수시 365일 24시)
  • 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로41길 11 당산 SK V1센터 E동 1906호 사단법인 한국장애인소비자연합
  • 팩스 : 02-6952-2727
  • 상담신청
Copyright © kdccc.or.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