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인 어려움 겪는 대중교통 이용 문제 개선해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2-08-12 10:37 조회 888회 댓글 0건본문
등록 2022.07.26 11:22:48
경기硏 '교통복지 사각지대 방치 시각장애인 이동편의' 발간
첨단 정보통신 기술 활용 개선 필요
교통카드 단말기 위치. (사진=경기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수원=뉴시스]박상욱 기자 = 시각장애인이 어려움을 겪는 대중교통 이용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태그리스페이 시스템'(비접촉 교통카드 인식) 등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는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이런 내용의 '교통복지 사각지대에 방치된 시각장애인 이동편의'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6일 밝혔다.
2019년 9~10월 디지털시각장애인연대가 전국 시각장애인 252명을 대상으로 인식 조사한 결과 가장 불편한 교통수단으로 전체 52.8%가 버스 정차 위치와 노선번호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버스를 지목했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안내 서비스를 갖춘 지하철(43%)은 버스보다 낮게 나왔다.
이에 연구원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이용편의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우선 단기적으로 버스의 교통카드 단말기 위치 표준화 사업이다. 버스 승하차 시 교통카드를 찍어야 하는 단말기의 위치가 버스마다 달라 시각장애인이 불편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도는 최근 시·군, 버스 제조업체, 버스 운영업체, 교통카드 단말기 운영업체 등과 협조해 교통카드 단말기 위치 표준화에 합의했다. 도는 추후 버스 업체들과 표준안을 마련해 적용할 계획이다.
버스 탑승 지점을 알기 쉽게 시각장애인 전용 대기지점 혹은 우선 대기지점을 도입하는 방안도 주장했다. 버스 이용객이 많은 정류소에서는 전용 대기점을, 비교적 한산한 정류장에서는 시각장애인이 줄 맨 앞으로 오는 우선 대기지점을 도입하자는 내용이다.
이어 ▲태그리스페이 시스템(비접촉 교통카드 인식)과 승하차 정보 제공을 위한 비콘(교통정보 수집 장치) 설치 등 첨단정보통신기술 활용 ▲저시력자를 위한 지하철역 출입구 번호표시 글씨 크기 확대 ▲횡단보도 음성신호기 정비사업 등도 나열했다.
지우석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정보통신기술의 활용도 효과가 크지만 교통약자 전용 대기지점 등은 사회 구성원 모두의 이해와 공감도 선행돼야 한다"며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후천적 시각장애가 많이 발생하면서 저시력 장애인을 위한 이동편의 서비스는 고령친화도시를 위한 미래 대응 정책도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기준 전국 시각장애인의 약 21%인 5만4000여 명이 경기도민이다. 전체 경기도민 1358만 1000여 명 중 시각장애인은 약. 0.4%에 달한다. 인구 대비 시각장애인 비율이 높은 시·군은 연천군(0.66%), 여주시·가평군(0.65%), 양평군(0.57%) 등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sw78@newsis.com
경기硏 '교통복지 사각지대 방치 시각장애인 이동편의' 발간
첨단 정보통신 기술 활용 개선 필요
교통카드 단말기 위치. (사진=경기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수원=뉴시스]박상욱 기자 = 시각장애인이 어려움을 겪는 대중교통 이용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태그리스페이 시스템'(비접촉 교통카드 인식) 등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는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이런 내용의 '교통복지 사각지대에 방치된 시각장애인 이동편의'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6일 밝혔다.
2019년 9~10월 디지털시각장애인연대가 전국 시각장애인 252명을 대상으로 인식 조사한 결과 가장 불편한 교통수단으로 전체 52.8%가 버스 정차 위치와 노선번호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버스를 지목했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안내 서비스를 갖춘 지하철(43%)은 버스보다 낮게 나왔다.
이에 연구원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이용편의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우선 단기적으로 버스의 교통카드 단말기 위치 표준화 사업이다. 버스 승하차 시 교통카드를 찍어야 하는 단말기의 위치가 버스마다 달라 시각장애인이 불편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도는 최근 시·군, 버스 제조업체, 버스 운영업체, 교통카드 단말기 운영업체 등과 협조해 교통카드 단말기 위치 표준화에 합의했다. 도는 추후 버스 업체들과 표준안을 마련해 적용할 계획이다.
버스 탑승 지점을 알기 쉽게 시각장애인 전용 대기지점 혹은 우선 대기지점을 도입하는 방안도 주장했다. 버스 이용객이 많은 정류소에서는 전용 대기점을, 비교적 한산한 정류장에서는 시각장애인이 줄 맨 앞으로 오는 우선 대기지점을 도입하자는 내용이다.
이어 ▲태그리스페이 시스템(비접촉 교통카드 인식)과 승하차 정보 제공을 위한 비콘(교통정보 수집 장치) 설치 등 첨단정보통신기술 활용 ▲저시력자를 위한 지하철역 출입구 번호표시 글씨 크기 확대 ▲횡단보도 음성신호기 정비사업 등도 나열했다.
지우석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정보통신기술의 활용도 효과가 크지만 교통약자 전용 대기지점 등은 사회 구성원 모두의 이해와 공감도 선행돼야 한다"며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후천적 시각장애가 많이 발생하면서 저시력 장애인을 위한 이동편의 서비스는 고령친화도시를 위한 미래 대응 정책도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기준 전국 시각장애인의 약 21%인 5만4000여 명이 경기도민이다. 전체 경기도민 1358만 1000여 명 중 시각장애인은 약. 0.4%에 달한다. 인구 대비 시각장애인 비율이 높은 시·군은 연천군(0.66%), 여주시·가평군(0.65%), 양평군(0.57%) 등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sw78@newsis.com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23-01-11 15:02:13 보도자료에서 이동 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